라벨이 인 게시물 표시

닌텐도 스위치 게임칩 골드포인트 적립 및 사용 방법

이미지
닌텐도 골드포인트 적립 방법 제가 구입했던 닌텐도 게임 칩 닌텐도 스위치 게임 칩 패키지를 구입하신 분이라면, 골드포인트 적립이 가능합니다. 저는 이 사실을 뒤늦게 알아버렸네요... 골드포인트는 닌텐도 계정 마일리지 제도로 나중에 닌텐도 e샵에서 온라인 버전을 구입할 때 돈 대신 지불이 가능한 포인트입니다. 게임 패키지 가격의 1% 적립 됩니다. 디지털 버전 구입 -> 5% 적립 패키지 버전 구입 -> 1% 적립 적립 방법은 아래 설명을 잘 따라하시면 됩니다. 내가 구입 한 게임 칩을 끼운 후 해당 게임에 '+' 버튼을 눌러서 옵션 기능을 켭니다. 마이닌텐도 포인트 프로그램 - 골드 포인트 받기(패키지 버전만) 항목에서 'A' 버튼을 눌러서 결정합니다. '이 소프트웨어의 포인트를 받기' 항목을 A 버튼을 누르면 닌텐도 계정에 포인트를 받게 됩니다. 골드포인트는 닌텐도 e샵에 들어가면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렇게 닌텐도 계정안에 골드포인트가 적립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골드포인트를 적립 하는 조건과 사용 기한이 있는데 꽤나 까다롭습니다. 닌텐도 골드포인트에 대하여 게임 패키지 가격의 1% 적립 예시) 65,000원 게임 -> 650원 적립 패지키 게임은 게임 출시 날짜를 기준으로 1년 이내 적립 2023년 1월 31일 출시 게임은 2024년 1월 30일 적립 종료 받은 골드 포인트는 1년 이내 사용 (등록월 기준 내년 월말) 예를 들어서 출시 된 지 1년이 지난 패키지는 골드포인트 적립 기간이 만료되었기 때문에 등록이 불가능합니다. 이런식으로 유효기간이 지났다는 알림이 뜨는 걸 볼 수 있죠. 그리고 2023년 1월 1일에 적립된 골드포인트는 내년 월말 2024년 1월 31일에 소멸이 됩니다. 평소에 저처럼 게임을 자주 구입하는 분이라면 골드포인트를 통해서 잘 활용하겠지만 게임 구매를 적게 하는 분은 큰 효용성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골드포인트는 e샵에서만 사용 가능 그리고 오직 e샵에서만 골...

닌텐도 스위치 플레이 타임 보는 법 2가지

이미지
스위치 기기에서 보는 방법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방식입니다. 설정-프로필 항목-플레이 기록에서 내가 했던 게임만 5시간 간격으로 플레이 타임이 갱신이 됩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14시간 플레이 하였다면, 10시간으로 기록 됩니다. 즉 매우 정확한 시간 기록이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첫 게임 플레이의 경우 게임을 시작한 기점으로 11일 후 확인이 가능한 것도 단점입니다. 단, 처음 시작한 게임의 플탐을 볼 수 없다. 보통 게임을 구입 후 가장 많이 플레이 하는 게임은 새로 구입한 게임이 일반적인 만큼 "내가 새로 구입한 게임을 몇 시간 플레이 했더라?" 이 부분이 가장 궁금한데요. 그걸 볼 수 없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아요. 스위치 기기에서 플레이 시간 확인 가능 (5시간 단위) 첫 플레이 게임은 11일 후에 기록 확인 가능 최근에 플레이 했던 게임 10개 까지만 표시 왜 이런 식으로 플레이 타임을 표시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즉각적이고 정확한 플레이 시간 기록이 궁금한 분은 아래에 있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닌텐도 페어렌탈 콘트롤즈 Nintendo Parental Controls 앱은 부모들이 자녀의 게임 플레이 시간을 감시하기 위한 스마트폰 앱 입니다. 본래 목적은 자녀 교육을 목적으로 지원하는 앱이지만 정확한 플레이 타임을 확인 할 수도 있습니다. 스위치 기기와 앱 연동 후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번 연동해 놓으면 스위치 기기가 없더라도 먼거리에서 스마트폰으로 정확한 플레이 시간을 확인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죠. 그러나 단점도 있는데요. 닌텐도 스마트폰 앱 2개 닌텐도 온라인 앱, 닌텐도 페어렌탈 앱 2가지가 구분 되어 있다는 점이 단점입니다. 도대체 왜 앱을 2개로 구분했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플레이스테이션, XBOX 진영의 경우 1개의 앱으로 통합되어있는데 말이죠. 그리고 감시앱이 작동되고 있는다는 표시가 나타납니다. 큼지막하게 주황색으로 앱이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요. 이게 거슬리는 분도 있을...

닌텐도 스위치 AUX 스피커 연결 및 노이즈 문제

이미지
닌텐도 스위치 본체에는 3.5mm 이어폰 및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는 AUX단자가 있습니다. 휴대용 모드 상태로 이어폰을 꽂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독모드 상태일 때 스피커를 꽂으면 화이트 노이즈 같은 잡음이 들리게 됩니다. 왜 이런 증상이 나타날까요? 소음이 일어나는 증상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접지 문제 스위치 본체에 있는 이어폰 잭에 스피커를 연결 시킬 경우, 접지로 인한 '그라운드 루프'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라운드 루프는 일반 스피커에도 겪을 수 있는 흔한 증상인데요. 쉽게 말해서 노이즈 없는 소리를 듣기 위해선 오디오 출력 부분의 전기선을 구분하여 전력 공급을 받아야 합니다. 1개에 멀티탭에 전자제품이 2개 이상 꽂혀있는 경우 전기 공급이 불안정해지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그게 무슨 말이냐면, 닌텐도 스위치에 공급 받는 충전기는 오직 닌텐도 스위치만을 위한 전력공급을 받아야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선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합니다. 기본적으로 멀티탭 위에 닌텐도 충전기가 꽂혀져 있고 모니터, 스피커 등 각종 전자 기기들도 꽂는 가정이 대부분이죠. 그렇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USB 사운드 카드 또는 USB 스피커로 연결해주면 됩니다. USB 사운드 카드 연결 USB 사운드 카드와 닌텐도 스위치 연결 저는 스위치에 스피커 연결을 독(Dock)에 USB 사운드 카드를 끼운 뒤 AUX 단자를 연결하였습니다. 스위치 도크 - USB 사운드 카드 - 3.5mm 스피커 이렇게 연결하면 스위치 본체는 '외장 스피커'로 인식하여 정상적으로 출력이 됩니다. USB 사운드 카드는 4,000~6,000원 가격에 구입이 가능합니다. USB 스피커 연결 스피커 제품 중에 USB 포트로 되어있는 스피커 제품이 있습니다. 그 제품을 스위치 독에 꽂아도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스피커 가격은 2~10만원 ...

닌텐도 스위치 조이콘 프로콘 스틱 쏠림 돈 안쓰고 수리하기

이미지
닌텐도 스위치 조이콘, 프로콘은 1년 주기로 고장이 납니다. 원인은 센서에 먼지가 들어갔기 때문에 인식 오류를 발생 시키는 것인데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BW-100 접점부활제를 사용하곤 하죠. 저도 닌텐도 때문에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본문에서 제가 설명하는 건, 돈 없이, 접점부활제 필요 없이 컨트롤러 쏠림 증상을 고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방법은 쉽습니다. 안에 들어간 먼지를 제거해주면 되는데요. 조이콘, 프로콘 순서대로 설명할께요. 준비물 헤어드라이어 (블로워 역할) 빨대 프로콘 나사 드라이버 조이콘 쏠림 수리 조이콘을 수리하는 방법이 제일 쉽습니다. 빨대를 이용하여 조이콘 스틱 부위를 입으로 불어주기만 하면 됩니다. 이런 식으로 조이콘 스틱에 있는 먼지 유입 방지 덮개를 빨대로 올려준 뒤, 입으로 불어주면 됩니다. 최대한 침이 튀지 않게 말이죠. 길게 불지 말고 짧게 0.5초 정도만 불어줘도 됩니다. 어릴 때 닌텐도 패미컴 팩게임을 해본 분은 알겠지만, 게임팩 인식이 잘 되지 않을 때 입에 후후 불어서 먼지를 날려주면 인식이 잘 됐죠? 동일한 방식입니다. 저도 이 방법을 알게 되고 나서 bw-100 뿌리는 것도 귀찮아서 그냥 입으로 불어서 해결합니다. 특히 밖에서 스위치를 가지고 다닐 때 쏠림 현상 겪으면 진짜 열받거든요. 그 때는 손톱으로 덮개 제껴버리고 입으로 바로 불어버립니다. 그렇게 해도 쏠림 문제가 해결됩니다. 프로콘(프로컨트롤러) 프로컨트롤러는 완전히 분해를 하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프로콘 분해 모습 구조적으로 아날로그 스틱이 콘형태로 씌워져 있어서 분해를 하지 않으면 먼지 제거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어쩔 수 없이 분해를 해야하죠. 그렇지만 분해 방법은 조이콘 보다 쉽기 때문에 부담 없이 분해가 가능합니다. 유튜브에 '프로콘 분해영상', 'Pro-controller Teardown' 검색해보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영상들이 많아요. 영상을 따라하면서 위에 있는 사진처럼 전면 기판이 보이도록 하세요...

마리오카트 8 디럭스 3.0.1 추천 카트 조합 메타

이미지
마리오카트 부스터코스 패스 6탄 까지 모두 업데이트 되면서 밸런스 패치도 진행하였는데요. 마카 3.0.1 버전 부터는 다양한 카트 조합이 사용되어서 개인적으로 마카를 6년째 하는 사람으로서 역대 가장 좋은 황금 밸런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일단, 경기를 진행하면 다양한 조합이 나오는 것이 보기 좋거든요. 그럼에도 중심 메타는 존재하는데요. 3.0.1 버전 이후 인기 조합이 무엇인지 정리하였습니다. 3.0.1 버전 메타 마리오카트 메타 조합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안정형 미니터보 최대치 '안정형'은 미니터보를 높게 뽑으면서도 가속, 속도 능력치까지 균형있게 갖춘 조합입니다. '미니터보 최대치' 조합은 말그대로 미니터보를 극한으로 뽑지만 다른 능력치는 약간 손해보는 조합입니다. 이 2가지 중에서 자신에 취향에 맞는 조합을 선택하면 됩니다. 아래 내용은 안정형 조합, 미니터보 최대치 조합이 무엇이 있는지를 설명하였습니다. 안정형 조합 키노피치 고양이크루저 롤러 종이비행기 3.0.1 버전부터 가장 각광을 받게 된 조합. 기본 조합은 요시+곰라이드 조합과 똑같습니다만, '고양이크루저' 바디의 무적시간 상향, 키노피치의 예쁜 캐릭터와 맞물리면서 자주 눈에 띄는 조합입니다. 원래 곰라이드, 고양이크루저 바디는 동일한 능력치 였지만, 곰라이드의 무적시간이 너프를 먹으면서  안정형 조합 대표 메타가 바뀌었습니다. 요시 곰라이드 롤러 종이비행기 이전 패치 버전에서 가장 기본이 되었던 메타입니다. 전세계 표준 조합이라고 봐도 될 정도죠. 인터넷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조합이며, 모든 맵에서 가장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합니다. 빠른 가속력으로 아이템 피격 후 빠른 복귀 긴 미니 터보 시간 적당한 속력 다만 3.0.1 패치로 곰라이드가 너프를 먹으면서 성능이 떨어졌습니다. 위에 설명한 키노피치 조합과 비교해보면 모든 능력치가 똑같지만 무적시간(Incuncibility) 능력치가 떨어진 걸 볼 수 있죠. 그나마 '고양이크루저'와 ...

마리오 카트 8 디럭스 커스터마이즈 조합 시뮬레이터

이미지
아래 링크를 통해서 원하는 캐릭터 조합을 세팅해보고 최적의 능력치를 찾을 수 있습니다. Mario Kart 8 Deluxe Builder 1.5 (mk8dxbuilder.com) 사용 방법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원하는 조합을 클릭하여 능력치를 확인하면 됩니다.  23년 7월 2.4.0 밸런스 패치 이후로 고정된 메타는 사라졌고 많은 사람들이 최적의 조합을 연구 중에 있습니다. 조합 능력치 보는 법 속도(Speed) 지상, 물 속, 글라이더, 반중력(바퀴가 뜬 상태) 상태에 따라서 속도가 다릅니다. 그러므로 맵에 따라서 카트의 성능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수치가 높을 수록 최고 한계 속도 수치가 높아집니다. 일반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캐릭터일 수록 최고 속도가 높은 편입니다. 가속도 (Acceleration)  가속도는 상대에게 아이템을 맞은 후 다시 최고 속도를 빠르게 높일 수 있습니다.  다만 버섯 아이템이 있을 경우 가속도 능력치 필요없이 곧바로 최고 속도로 높일 수 있으므로 개인적으론 중요한 수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무게 (Weight)  중량이 무거울 수록 상대방과 부딪혔을 때 밀리지 않으며 오히려 상대방을 몸으로 밀쳐내는 행동도 가능합니다. '무지개로드' 맵 처럼 낭떠러지가 있는 맵에서 전략적으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핸들링 (Handling) 속도와 마찬가지로 지상, 물 속, 글라이더, 반중력 환경에 따라서 스탯이 다릅니다. 말그대로 코너링 주행시 얼마나 쉽게 꺾을 수 있느냐 입니다. 이 수치가 높을 수록 코너링 주행 시 원활하게 꺾을 수 있습니다. 고중량 캐릭터 일 수록 핸들링이 어렵습니다. 그립 (Traction)  코너링 구간에서 드리프트를 할 때 미니터보가 얼마나 빨리 쌓이는 수치를 나타냅니다. 불꽃은 3단계까지 있으며 3단계는 버섯아이템과 동일한 터보를 냅니다. 가벼운 캐릭터 일 수록 그립이 좋아 터보를 빠르게 충전 시킬 수 있습니다. 미니터보 (Mini-Turbo)  미니터보 시...

카테고리